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80

근로기준법 (취업규칙) 제93조(취업규칙의 작성ㆍ신고) 상시 10명 이상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에 관한 취업규칙을 작성하여 고용노동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이를 변경하는 경우에도 또한 같다. 1. 업무의 시작과 종료 시각, 휴게시간, 휴일, 휴가 및 교대 근로에 관한 사항 2. 임금의 결정ㆍ계산ㆍ지급 방법, 임금의 산정기간ㆍ지급시기 및 승급(昇給)에 관한 사항 3. 가족수당의 계산ㆍ지급 방법에 관한 사항 4. 퇴직에 관한 사항 5.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제4조에 따라 설정된 퇴직급여, 상여 및 최저임금에 관한 사항 6. 근로자의 식비, 작업 용품 등의 부담에 관한 사항 7. 근로자를 위한 교육시설에 관한 사항 8. 출산전후휴가ㆍ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ㆍ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 .. 2022. 4. 3.
근로기준법 (연차) 제 60조 1년 80%이상 출근 시 15일의 유급휴가를 지급해야한다. 1년 미만의 근무자 또는 80%이하 출근의 경우이라면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지급해야한다. 3년이상 근무 시 4년째부터 매 2년에 대해 +1일 주어야하고, 25일 한도로 한다. 근로자가 청구한 시기에 주어야한다. (단, 상당한 영업상 불이익이 염려되거나 사정이 있는경우를 사업주가 입증하는 경우는 조정은 가능하다.) 만일 사용하지 못하면 통상임금 기준으로 1년후 급여지급일에 지급한다. 법 위반 시 2년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이 있다. 상시근로자 5인이상 사업장에만 적용되고, 4인이하나 1주 15시간 미만인 경우 제외이다. 1년차의 경우 월 만근 시 다음달에 1개씩 발생하여 총 11개가 주어지고, 2년차부터 15개.. 2022. 4. 3.
근로기준법 (휴게시간, 유급휴일) 제 54조 근로시간이 4시간인 경우는 30분이상, 8시간인 경우는 1시간 이상의 휴게시간을 주어야하고, 자유롭게 이용가능하다. 제 50조 근로시간은 지휘,감독 아래에 있는 시간이다. 위반 시 2년이하 징역이나 2천만원 이하의 벌금이 있다. 휴게시간은 근로시간 도중에 부여해야하며, 자유를 보장해야한다. 제 55조 1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보장해야한다.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휴일을 유급으로 보장해야한다. 다만, 근로자대표와 서면합의 시 특정한 근로일로 대체 가능하다. 그러나 22년부터 5인이상의 사업장은 절대 근로일로 대체 불가능하다. 위반 시 2년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이 있다. 휴일은 법정휴일과 약정휴일이 있다. 법정휴일은 주휴일(통상 일요일 - 1주 개근 시 1일 이상 유급으로 .. 2022. 4. 3.
[다크판타지] 무녀의 칼날 3 등장인물 : 무명의 무녀, 수호자 칼날, 수호자 이리야 칼날이 느꼈던 희망의 빛이 비쳤던 마을로 걸어갔고 거의 다다랐다. 광경은 처참했다 이미 황폐한 마을이 된지 오래된 것 같다. 마을 광경은 대체로 벽돌집이었지만 불에 모두 타버려서 기둥만 남아있었고, 주위에는 시체가 즐비했다. 여기도 이미 모든 것들이 타락한 듯 싶었다. 다행이도 공격하는 타락자가 얼마 없어서 무리없이 전진해나갔다. 그래도 생존자가 혹시 어딘가 살아있는 것인가? 의문이었다. 앞을 계속 걸어가니 중앙에 커다란 분수대가 있었다. 웅장해보였지만 타락으로 인해 물은 검은색으로 가득 차 있었다. 여기의 물도 다 오염이 되었고 괜찮은 곳이 없었다. 분수대 북쪽에는 큰 마을회관이 하나 있었다. 아마 마을의 중심부처럼 보였고, 마을회관에 혹시 실마리.. 2022. 4.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