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80 발전가능성에 대한 서로간 이야기 서로 간 이야기를 한다. 어떤 이야기를 하는가? 그 대상에 따라 달라진다. 남자냐 여자냐 20대냐 80대냐 친구냐 연인이냐 거래처 대상이냐? 나는 크게 발전 가능성을 두고 나누는 것으로 주제를 정하고 싶다. 끝까지 함께할 동반자라면 적어도 이 사람이 발전 가능성이 있는가?를 판단하는 것이 좋다. 여자, 40대 이후, 거채처 대상의 경우는 발전 가능성의 경우가 거의 없긴 하다. 그냥 의미 없는 말이 오가거나 재미를 오가는 말들뿐이다. 남자, 2~30대, 친구? 등은 발전가능성에 최대한 고뇌를 하는 경우가 많았다. 장래 어떻게 할 것인지 그리고 사업에서 어떻게 진행해야 좋을지... 그런데 이런 사람들은 정말 별로다. 나는 10중에 3의 이야기를 꺼냈지만, 상대방은 1의 이야기도 꺼내지 않는다. 그냥 말만 많.. 2019. 8. 3. 급여계산기 만들기 예전에 만들어 놓은 급여 계산기이다. 18년도 기준이고, 19년도에는 4대 보험 요율이 바뀌었으므로 참고 바란다. 우선 큰 뼈대를 보자면 연봉 > 월할계산 > 세금과 4대 보험 떼기 > 실수령액이다. 우리가 받는 급여는 연봉의돈을 받는 것이 아니다. 나라에 떼 가는 근로소득세와 지방소득세, 악독한 4대 보험이라는 도둑놈이 있다. 만일 연봉이 2400만원이라면 12로 나누면 월 받는 금액이 된다. 참고로 퇴직금을 포함하여 13으로 나누는 회사가 있다면 노동청에 신고 바랍니다. 12로 나누면 200만원이 됩니다. 여기서 200만원을 받는 것이 아니라 세금을 뗍니다. 간이세액 표라고 해서 월 급여별로 나라에서 지정해 놓았습니다. 200만원에 합당한 세금이 17,180원이군요 그리고 주민세도 10% 떼갑니다. .. 2019. 8. 3. 대출 설명 계산기 만들기 예금과 적금과 비교해볼 때 약간 복잡해 보일 수도 있겠다. 하지만 원리는 비슷하다.(사실... 수식은 약간 어렵다.) 대출이 1800만원이 있고, 대출이자가 3.26%이고 대출기간이 12개월인 경우를 표시해 두었다. 먼저 개념설명이 들어가야 하는데, 원금균등과 원리금 균등이 있다. 그냥 말 그대로다. 원금균등은 납입하는 원금이 같다는 말이다. 달라지는 부분은 이자가 될 것이다. 이자는 남은 금액에 대한 이자를 지급하는 것이다. 낼수록 이자가 줄어들게 되므로 상환금이 줄어들게 된다. 원리금 균등은 원금과 이자의 합이 같다는 말이다. 그냥 계산해서 저렇게 나오게 된다. 이 경우는 원금에 비해 이자가 약간 더 나오게 되었다. 원리금을 맞추기 위해서 납입원금이 점차 증가하는 구조라서 그렇다. 상환하기에는 가장 .. 2019. 8. 3. 예금 설명 및 계산기 만들기 예금에 대한 계산을 만들어놓은 내역이다. 적금에 비해서 정말 쉽다. 7500만원을 넣어놓고 연이율이 2.7%이면 7500만원 * 2.7% 하면 연 이자수익이 나오게 된다. 만일 2년 동안 예치를 한다면 그 값의 2를 곱해주면 끝이다. 예금은 말그대로 예치해놓은 금액을 가지고 이자를 받는 구조이기 때문에, 월에 따라 이자가 달라지는 것이 아니라 같은 구조다. 다만 월할로 계산을 한다면 12로 나눈 금액이 월 수익으로 인식될 금액이 된다. 총이자는 400만정도이지만 세금 떼면 3백 얼마가 될 것이다. 2019. 8. 3. 이전 1 ··· 80 81 82 83 84 85 86 ··· 12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