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80

적금 설명 및 계산기 만들기 내가 만들어 놓은 엑셀 계산기이다. 적금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먼저 하자면, 월 정해진 금액을 정해진 기간 불입하면 그에 상응하는 이자를 받게 된다. 위의 경우를 보면 월 120만 원을 12개월 동안 넣은 것이다. 이자율은 3.2%라고 정해놓았다. 1개월에 돈을 불입하면 그에 대한 이자를 얻게된다. 계산식은 120만 원 * 3.2% 일까? 아니다. 이자율은 연이자율이기 때문에 월할로 계산해야 한다. 1개월 차이므로 1/12를 곱해주어야 한다. 그러면 3200원이 나오게 된다. 위에서의 월수는 1년 만기를 가정했기 때문에 처음 불입된 돈이 12개월 모두 적용된 경우의 값으로 나타나 있다. 3200원 * 12개월 = 38,400원 2개월도 마찬가지다... 참고로 단리와 복리의 개념이 있는데, 차이는 복리는 .. 2019. 8. 3.
직업의 평등 무슨 일이든 가치를 부여하면 가치 있는 일이 되고 아니면 쓸모없는 일이 된다. 사람은 각기 다른모양대로 살지만, 누구는 가치 있는 일을 하고 누구는 가치 없는 일을 한다. 이것은 직업의 관점이 아닌 문제를 직시하고 해결하려는 의지가 있는가에서부터 출발할 것이다. 직업은 귀천이 없다. 왜냐하면 사람들에게 모두 필요한 일이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은 일들은 직업이 아니다.) 전문직이 대단한 이유는 어려운 시험을 거쳤기 때문이고, 돈을 잘벌기 때문이다. 다른 직업은 시험이 상대적으로 어렵지 않고 물론 안 봐도 되는 경우도 있다. 돈을 상대적으로 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돈을 벌건 못벌건 직업의 귀천이 없다. 사람들은 돈으로 직업을 평가한다. 시험의 난이도로 직업을 평가한다. 그렇지만 그것은 아주 잘못.. 2019. 8. 3.
상대적 박탈감에 대하여 그리고 결국은? 어떤 유튜버가 80억짜리 건물을 샀다고 한다. 이에 대한 많은 의견들이 엇갈렸다. 그들은 노력을 했고 그에 상응하는 값을 받았다고 하는 사람들,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우선 후자에 대해 이야기해보겠다. 그들의 마음은 이해한다. 그들이 말하길 나는 피 터지게 공부해서 고시에 합격을 하고 변호사 자격증까지 취득했지만 그들을 따라갈 수가 없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나의 생각은 본인이 선택한 직업은 본인이 책임을 지는 것이고, 이전의 일들과 이후의 일들의 조합, 그에 상응하는 결과를 받게 될 것이라는 것이다. 돈을 못버는 것은 본인의 능력의 이유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들만큼의 노력을 진정 가했는가? 그리고 또 묻고 싶은 것은 돈을 많이 벌려고 변호사를 선택했는가? 사명감보다는 오로지 돈.. 2019. 8. 3.
재미있고 쉽게 할 수 있는 일 재미있으면서도 정말 쉽게 할 수 있는 일이 존재할까? 존재한다. 바로 유튜버다. 단, 잭팟이 터져야한다. 그냥 재미있게, 서로 콩트 짜고 올려서 만일 대박이 나면 80억짜리 건물 하나 사는 것이다. 누구 하나 비난할 것이 없다. 왜냐하면 자신의 노력으로 자신의 운이 따랐으므로... 비방보다도 부러우면 자신을 탓해야 한다. 왜냐하면 그마만큼의 노력을 가하지도 않고 운도 따르지 않았으므로,,, 마치 로또를 사서 당첨된 사람으로 생각하면 된다. 같은 로또를 샀는데 나는 안되고 다른 사람은 30억이 당첨되었다고 하면 당첨된 사람을 불로소득으로 비난할 것인가? 말도 안 된다. 그걸 바라고 로또를 산 사람은 정말 자신을 모르는 어리석은 사람이다. 어떤 유튜버는 이런 좋은 기회가 있으니 유튜버를 해서 돈을 벌라고 한.. 2019. 8.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