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상단 전표 입력이 있다. 우리가 볼 것은 일반 전표와 매입매출전표다. 둘의 차이는 후자는 증빙있는 부가세 항목 입력(부가가치세 관련)이라고 생각하고 나머지는 일반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부가세 있는 상품이나 제품을 매입 또는 매출을 했을 때 부가세 예수금을 받거나 대급금이 나가는데 매입매출전표가 부가세 관련 항목을 입력하고 구분하기 쉽게 만들었을 뿐이다.
일반 전표 입력 - 증빙 없는 것들 혹은 대체 성격의 항목만 쓰면 된다.
상단에 일자를 입력하면 하단에 자동 반영된다. > 번호는 자동부여 > 구분은 그림 맨 하단에 6가지 설명이 있다. 현금 관련이 있다면 1,2번을 대체 성격이 있다면 3,4번을 쓰면 된다. 전자는 입출금 시 쓰면 편하고 후자는 매출했다가 현금이 아닌 외상으로 처리했다가 현금으로 받는 대체의 성격으로 쓰기 유용한다.
매출 시 매입매출전표 입력 > 현금 받았을 때는 일반전표 입력하기
거래처는 채권, 채무관계에서는 반드시 써야 한다. 나중에 정말 헷갈리기 때문이다. 외상매출금인데 누구에 대한 것인가... 나중에 입력하지 않는다면 일일이 다 찾아봐야 하는 수가 생길지도?
계정은 정말 가짓수가 많으므로 따로 표를 외워두어야 한다. 특히 500번대는 제조, 800번대는 판관비에서 많이 쓰인다.
적요는 필요시 입력(타계정 대체 시 반드시 입력 - 나중에 찾기 쉽게 하려고 함)
금액은 숫자를 누르면 되는데 +키를 누르면 0이 3개 생긴다.
반응형
'인사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산세무 1급 - 매입매출전표 입력 (0) | 2020.08.17 |
---|---|
전산세무 1급 - 일반전표입력 각종 항목 (0) | 2020.08.17 |
전산세무 1급 개요 - 및 프로그램 준비 (0) | 2020.08.17 |
건강보험료 계산 (0) | 2020.04.19 |
경영자가 알아야 할 법들 (0) | 2020.04.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