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80

세상을 바꾸는 것 세상을 바꾸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하는가? 누군가 혁명을 일으키면 바뀌는가? 다른 상황으로 이동하면 바뀌는가? 어떤 행위를 하면 바뀌는가? 어떤 것이 가장 합리적이고 쉬울까? 자신을 바꾸는 것이다. 특히 자신의 마인드를... 바꾸기 위한 전제는 부정의 요소가 존재해야한다. 부정의 요소를 없애야만 세상이 바뀌고 좋은 세상이 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각기 다르다. 하지만 나부터 바뀌는 것이 가장 빠르고 불만을 최소화할 수있는 방법이다. 2019. 7. 29.
지혜자와 우매자 지혜로운 사람은 자신을 채찍질하고 미련한 사람은 타인을 채찍질한다. 자신을 채찍질한 사람은 더 나은 상황을 만들고, 타인을 채찍질한 사람은 더 악한 상황을 만든다. 세상은 감정싸움이 아니라, 선을 창조하는 것이다. 2019. 7. 29.
공부 - 노력의 근원 파악하기 공부는 스스로 하는 것이다. 누가 도와주면 그것은 그 사람의 노하우지 내 것이 아니기에 만일 그 사람이 사라지게 된다면 나는 아무것도 할 수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내가 그 힘을 길러야 하는 것이고 열심히 노력해야 하는 결과로 이어지게 된다. 누가 공부를 시켜줌으로써 하는 공부는 그냥 자신의 위안감이다. 나도 공부 했으니 나도 저렇게 될 거야^^ 자신 위로를 하는 것이다. 하지만 정작 그 상황에 오면 낯설게 느껴지고 생각만큼 잘 안된다. 왜냐하면 다른 사람이 도와줘서 그렇게 잘하는 것이지, 만일 그 사람이 없다면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 배웠던 과거를 생각해봐도 할 수 없음은, 익숙하지 않아서이다. 자신이 안 해봤기 때문에... 노력해도 안되는 것은 그 노력의 근원을 파헤쳐야 한다. 내가 노력을.. 2019. 7. 28.
공부하는 방법 어떤게 좋을까? 공부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1. 학원강의 듣기 2. 인터넷강의 듣기 3. 스스로 공부하기 어떤 게 가장 효율적이고 잘 될 것인가? 내가 경험한 바로는, 1번은 가장 집중이 잘되고 이해가 빠르다. 하지만 시간효율이 좋지 않다. 50분 수업인데 이 정도라면 5분 정도 책을 읽으면 끝날 정도다. 선생이 헛소리하는 경우가 가장 골 때리긴 하다. 공부이야기보다는 애들 집중시킨다고 쓸데없는 개그 같지도 않은 개그를 하는 경우이다. 2번은 가장 효율이 좋겠다고 생각한다. 1번에 비해서 현장감과 집중력은 떨어지긴 하지만 배속으로 들을 수도있고, 회독도 가능하다. 강의자들이 미리 준비하고 찍기 때문에 헛소리를 안 해서 그게 가장 메리트다. 일사천리로 설명을 해주기 때문에 현장 강의보다는 100배 낫다고 생각하나, 집중.. 2019. 7.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