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조금 오래되었지만 나름 지식을 얻기에 쏠쏠하므로 네트워크에 대한 간단한 요약을 해보겠다. 네트워크는 말 그대로 서로 연결함을 뜻한다. 사람과 사람이 대화할 때 커뮤니케이션을 한다고 하는데, 바로 그것이다. 1:1로 대화하거나 1:N으로, 아니면 3:2로 대화하거나 대충 이런 내용이다. 그런데 기본적으로는 전송자 1명이고 받는 자는 1~N명이다. 왜냐하면 받는 자가 다수의 말을 알아들을 수 없기 때문이다. 어느 누구도 두 사람이 동시에 말하는 초성게임 같은 것을 하면 생각의 오류가 생기는 이유가 여기에 있는 것이다.
본론으로 들어가서, 사람의 무리를 생각해보자. 집합으로 표현해보면 나⊆가족⊆서울시⊆한국⊆세계 이런식으로 표현될 것이다. 네트워크도 마찬가지로 LAN과 WAN이 있다. LAN은 소규모 기업 네트워크라고 생각하면 되고, WAN 광의의 네트워크(LAN들을 모아놓은 것)라 생각하면 될 것이다.
그 공간에서 사람들이 커뮤니케이션을 할때 눈짓이든 말이든 서로 대화할 수 있다는 것은 그들만의 규약이 있기 때문이다. 내가 사과하면 상대방은 먹음직한 사과를 상상할 것이다. 사과라는 매개체가 서로 알고 있기 때문에 통하는 것이다. 이러한 규약을 네트워크 용어로 프로토콜이라고 한다. (통신방법 규약)
예를 들어 인터넷에서는 http(80번)를 사용하며, 메일에서는 SMTP : 송신(25번), POP : 수신(110번), IMAP : 수신(서버 저장)(143번), SSL = 암호화 프로토콜, 통신에서는 TCP/IP 등등이 있다. 더 많은 것은 인터넷을 검색하면 7 계층에 따른 분류와 각 번호들이 나온다.
그리고 각각의 장치가 있다. 용어들을 알아보자
장치/시스템 | 기능 | 관련기능 및 설명 |
클라이언트 | 받는 주체 = 컴퓨터 | DHCP: IP 자동할당(중복X) |
서버 | 주는 주체 | |
리피터 | 전원 증폭기 | |
라우터 | LAN끼리 혹은 서로다른 LAN연결 | NAT: 라우터안에 있으며, 프라이빗IP를 글로벌IP로 변환한다. |
허브 | 네트워크를 나누어 연결장치 | |
NIC | 랜 연결카드 혹은 포트 | MAC: NIC에 있는 고유번호(IEEE에서 할당된 고유한 제조자코드) |
게이트웨이 | 서로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기계나 시스템 | 서브넷: 네트워크 분할 서브넷마스크: 네트워크 분할 표시 |
NAS | 네트워크로 연결된 외부저장장치 |
인터넷 용어를 알아보자
용어 | 기능 | 관련기능 및 설명 |
WWW |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표준문서 시스템 | HTML: 여기에 사용하는 문서언어 |
인터넷 | TCP/IP라는 프로토콜(패킷 통신형)을 사용하는 세계적인 네트워크 | DNS: 도메인명으로 IP로 해석 |
웹사이트 | 여기에서 파일,이미지등 모여있는 장소 | 홈페이지: 웹사이트의 첫화면이지만 웹사이트와 혼용되어 사용 |
웹브라우저 | 웹사이트에 들어가기위한 프로그램 | |
도메인 | 인터넷 주소 예)www.a.co.kr | URL: 도메인을 포함한 모든주소 예)http://www.a.co.kr/index.inf |
이더넷 | 미국에서 발명한 네트워크 규격, 버스형과 스타형의 구성이 있으며 CSMA/CD제어방식을 가지고 있다. | CSMA/CD: 이더넷 통신방식, 충돌방지 프로토콜 |
이메일 | 전자형식 메일전송시스템 | MIME: 이메일에 파일첨부 가능하도록 하는 규격 |
VPN | 인터넷에 가상의 전용선 | |
RSS | 웹사이트의 간단한 내용들을 요약해놓은 포맷 | |
IP | 인터넷에 연결되어있는 컴퓨터의 고유번호(프로토콜 포트4번) |
글로벌 IP주소: 고유번호 보증, KRNIC에서 관리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