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채- 유동/비유동으로 분류
유동: 매입채무, 미지급금, 예수금, 가수금, 선수금, 단기차입금 등
비유동: 사채, 장기차입금, 퇴충, 임대보증금 등 (1년이상)
특히 사채는 성격에 따라 단기매매, 매도가능, 만기보유로 분류한다.
제3자로부터 돈빌리고 채무증권을 주는 것을 말한다.
만기에 따라 현재가치로 환산해야하는데, 액면이자율과 유효이자율의 개념이 나오게 된다.
유효가 크면 할인, 액면이 크면 할증이 붙게된다. 기말 때 유효이자율만큼의 이자 지급하고 사채할인발행차금이나 할증발행차금이 상각된다.
조기상환의 경우느 시장이자율에 의해 손실/이익이 발생할 수도 있다.
충당부채: 미래를 대비하여 부채로 넣는 것이다. 만일 누가 돈빌렸는데, 먹고 나른다면? 갑자기 손실로 잡게되면 회사자금흐름상 적지않은 영향이 갈 수 있기 때문이다. 단, 자금유출가능성이 높아야하고, 신뢰성있게 측정이 가능해야한다.
퇴직급여충당부채/퇴직연금
환율변동효과: 기말에 환산손실/이익 인식
화폐성/비화폐성: 선자가 들어가면 비화폐성이다. 나머지는 생각만 해도 분류가 됨
자본- 자본금, 자본잉여금, 자본조정, 기타포괄손익누계액, 이익잉여금
주식/자기주식
이익잉여금: 이익준비금, 임의적립금 등 > 배당, 무상증자 등
주식 분할/병합: 주식수와 액면가만 변동
반응형
'인사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산세무1급 원가회계 (0) | 2019.07.28 |
---|---|
전산세무1급 재무회계3 (0) | 2019.07.28 |
전산세무1급 재무회계 (0) | 2019.07.28 |
전산세무 1급 이론 (0) | 2019.07.28 |
전산세무 1급 개요 (0) | 2019.07.28 |
댓글